휴가 기간동안 EAGC 2007 에 잘 다녀왔다. EAGC (East Asia Graduate Conference)
자봉으로 지내면서, 섬김에 대해 생각도 하게 되었고, 사람들과도 만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사진을 보면서 이야기를 해보자.
일단 남의 사진으로 시작하자. 이건 백승훈 간사의 사진. 대학교 때 함께 IVF 활동을 열심히 했던 친구. EAGC에서도 열심히 활약했다. 등록대에 서서 등록을 받고, 둘째날 부터는 쏟아지는 각종 문의를 해결하는 문제해결본부에서 일했다.
내가 나름대로 뿌듯해 했던 인터넷 라운지. 참가자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공간이다. 지금은 왼쪽에서 두 번째 자리에 내가 앉아있다. 내가 관리한다고 하긴 했지만, 네 대의 노트북도 다 다른 사람들이 가져온 것이고, 첫째날 설정도 이시형 학사님이 해 주셨다. 또 문제가 생겼을 때는 백승훈 간사가 많이 처리하여서 사실 내가 직접 한 부분은 별로 없는 셈. 내가 한 것이라면 노트북 자물쇠를 가져다 채운 정도. ^^
우리가 묵었던 숙소. 한양대 안산 캠퍼스의 게스트 하우스.
이 사진이 내가 제대로 나온 유일한 사진이다. 내가 맡았던 일은 인터넷 라운지와 물건 구매, 그리고 커피와 차 준비하기였다. 준비한 찻상에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누군지는 모르겠군.
참가자로 왔던 임은선(오른쪽 체크무늬 남방). 지금은 간사가 되어 있다. 참가자로 왔으나 일손이 부족한 관계로 통역기를 나눠주고 있다. 몽골에 선교여행 갔을 때 같이 갔었는데, 여기서 보니 반갑더군.
대회를 총괄했던 이춘태 간사님. 대학교 1학년 때 겨울훈련에서 알게 되고 나서 이렇게 또 만나게 되었다. 뭐 이 바닥이 좁다는 것은 새삼스러운 이야기도 아니지만.
주 강사였던 마르바 던과 그 남편 마리온 샌드버그. 남편이 잘 보좌하여서 몸이 불편한 마르바 던이 강의를 잘 마칠 수 있었다. 마지막 날 마르바 던이 했던 말 중에 기억에 남는 말이 있다. "성경 강해는 나와 남편이 같이 사는 삶에 기반을 둡니다. 나는 다만 큰 입을 가졌을 뿐이지요." 큰 입이란 말을 잘 한다는 뜻으로, 자기는 그냥 앞에 서서 말을 하는 것 뿐이라는 뜻이다. 함께 있는 남편에게 고마움을 표하는 다정함이 느껴졌다.
자원봉사 지원 1팀. 식사, 간식, 구매, 인터넷 라운지를 담당했던 우리 팀. 남자분은 빼고 나머지 네 명이 우리 팀이다. 윗줄은 가운데 유진이 누나, 옆에 미예. 아랫줄은 왼쪽에 성실이, 오른쪽에 보람이. 어떻게 하다보니 나는 사진에 없다.
주 강사인 마르바 던. 사실 성경강해는 듣지 못해서 내용은 잘 모른다. 마지막 날 잠깐 들었는데, 양파껍질처럼 차곡차곡 덮혀가는 하나님의 보호하심 속에 내가 들어있다는 뭐 그런 내용이었던 듯 하다. 믿음이 자랄 때마다 양파껍질이 한 겹 더해진다는 비유를 하였다.
몽골에서 온 친구들. 7년 전 몽골에서 만났던 친구들도 있다. 한국을 사랑하고 한국과 인연이 깊은 친구들.
대전 IVF 간사였던 김종호 간사님. 만나서 참 반가웠다. 그리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했지만. 대회에서는 기도회를 인도하셨던 듯하다.
세째날 관광을 함께 도와준 영욱이. 청계천 - 덕수궁 - 동대문 시장으로 이어지는 관광코스에서 함께 버스에 올라타 많은 도움을 주었다.
누군지 모르는 어떤 아기. 이 아기를 보니 처가에 있는 아내와 아기 생각이 많이 났다. 예랑이를 참 보고 싶게 만든 아기. 건강하고 행복하게 잘 자라렴.
호이가. 몽골에서 만났던 친구. 지금은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다. 영어로 하는 강의를 한국어 통역기를 귀에 꼽고 한국어로 듣고 있다.
자봉으로 지내면서, 섬김에 대해 생각도 하게 되었고, 사람들과도 만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사진을 보면서 이야기를 해보자.
일단 남의 사진으로 시작하자. 이건 백승훈 간사의 사진. 대학교 때 함께 IVF 활동을 열심히 했던 친구. EAGC에서도 열심히 활약했다. 등록대에 서서 등록을 받고, 둘째날 부터는 쏟아지는 각종 문의를 해결하는 문제해결본부에서 일했다.
내가 나름대로 뿌듯해 했던 인터넷 라운지. 참가자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공간이다. 지금은 왼쪽에서 두 번째 자리에 내가 앉아있다. 내가 관리한다고 하긴 했지만, 네 대의 노트북도 다 다른 사람들이 가져온 것이고, 첫째날 설정도 이시형 학사님이 해 주셨다. 또 문제가 생겼을 때는 백승훈 간사가 많이 처리하여서 사실 내가 직접 한 부분은 별로 없는 셈. 내가 한 것이라면 노트북 자물쇠를 가져다 채운 정도. ^^
우리가 묵었던 숙소. 한양대 안산 캠퍼스의 게스트 하우스.
이 사진이 내가 제대로 나온 유일한 사진이다. 내가 맡았던 일은 인터넷 라운지와 물건 구매, 그리고 커피와 차 준비하기였다. 준비한 찻상에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누군지는 모르겠군.
참가자로 왔던 임은선(오른쪽 체크무늬 남방). 지금은 간사가 되어 있다. 참가자로 왔으나 일손이 부족한 관계로 통역기를 나눠주고 있다. 몽골에 선교여행 갔을 때 같이 갔었는데, 여기서 보니 반갑더군.
대회를 총괄했던 이춘태 간사님. 대학교 1학년 때 겨울훈련에서 알게 되고 나서 이렇게 또 만나게 되었다. 뭐 이 바닥이 좁다는 것은 새삼스러운 이야기도 아니지만.
주 강사였던 마르바 던과 그 남편 마리온 샌드버그. 남편이 잘 보좌하여서 몸이 불편한 마르바 던이 강의를 잘 마칠 수 있었다. 마지막 날 마르바 던이 했던 말 중에 기억에 남는 말이 있다. "성경 강해는 나와 남편이 같이 사는 삶에 기반을 둡니다. 나는 다만 큰 입을 가졌을 뿐이지요." 큰 입이란 말을 잘 한다는 뜻으로, 자기는 그냥 앞에 서서 말을 하는 것 뿐이라는 뜻이다. 함께 있는 남편에게 고마움을 표하는 다정함이 느껴졌다.
자원봉사 지원 1팀. 식사, 간식, 구매, 인터넷 라운지를 담당했던 우리 팀. 남자분은 빼고 나머지 네 명이 우리 팀이다. 윗줄은 가운데 유진이 누나, 옆에 미예. 아랫줄은 왼쪽에 성실이, 오른쪽에 보람이. 어떻게 하다보니 나는 사진에 없다.
주 강사인 마르바 던. 사실 성경강해는 듣지 못해서 내용은 잘 모른다. 마지막 날 잠깐 들었는데, 양파껍질처럼 차곡차곡 덮혀가는 하나님의 보호하심 속에 내가 들어있다는 뭐 그런 내용이었던 듯 하다. 믿음이 자랄 때마다 양파껍질이 한 겹 더해진다는 비유를 하였다.
몽골에서 온 친구들. 7년 전 몽골에서 만났던 친구들도 있다. 한국을 사랑하고 한국과 인연이 깊은 친구들.
대전 IVF 간사였던 김종호 간사님. 만나서 참 반가웠다. 그리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했지만. 대회에서는 기도회를 인도하셨던 듯하다.
세째날 관광을 함께 도와준 영욱이. 청계천 - 덕수궁 - 동대문 시장으로 이어지는 관광코스에서 함께 버스에 올라타 많은 도움을 주었다.
누군지 모르는 어떤 아기. 이 아기를 보니 처가에 있는 아내와 아기 생각이 많이 났다. 예랑이를 참 보고 싶게 만든 아기. 건강하고 행복하게 잘 자라렴.
호이가. 몽골에서 만났던 친구. 지금은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다. 영어로 하는 강의를 한국어 통역기를 귀에 꼽고 한국어로 듣고 있다.
'이야기마당 > 이런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싫어하는 누리꾼 말 (0) | 2007.10.01 |
---|---|
자동차 앞 유리 수리 (4) | 2007.09.11 |
여성 입주자와의 만남 (1) | 2007.07.20 |
아파트 계단에 설치된 센서등 (1) | 2007.06.29 |
기적을 부르는 기도 (1) | 2007.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