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마당/이런저런 이야기

일본의 MMR 예방접종 변경조치와 자폐증과의 관계

Autism rises despite MMR ban in Japan

일본에서 MMR 접종을 금지하였음에도 자폐증 증가는 계속 되었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2005년 3월 3일 NewScientist 라는 웹잡지에 실린 내용.

요코하마 아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993년 4월부터 접종을 하지 않았음에도 자폐 증가는 계속되었다는 내용이다.

MR_ban_Japan.jp


이 그래프를 얻기 위해서 무엇을 했는지 궁금하신 분은 아래 논문을 읽어보면 된다.
MMR_ban_Paper.pdf 

논문 내용을 좀 가져와봤다.
In Japan, the Immunization Law had provided measles vaccination of children aged 12 months to 72 months since 1978 and rubella vaccination of junior high school female students since 1977; then an MMR vaccination program was launched in April 1989. In contrast to the practice in many countries where an MMR booster is administered a few years following the initial vaccination, in Japan only one vaccination was administered to children between 12 and 72 months of age, with the majority vaccinated between 12 and 18 months of age. However, due to a high frequency of reports of aseptic meningitis, a suspected side effect of the mumps vaccine (Urabe strain), the program was terminated in April 1993. Subsequently, only monovalent vaccines were administered. Following a reform of the Immunization Law in 1994, measles and rubella vaccinations were each specified for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12 and 90 months (the measles vaccine was recommended between 12 and 24 months of age and the rubella vaccine between 12 and 36 months). The mumps vaccination was voluntary and aimed at children one year of age or older who had not contracted mumps. It was also stipulated that an interval of at least four weeks separate administration of vaccinations. 

대강 해석해보자면,
일본에서는 1978년 홍역(Measles)백신, 1977년 풍진(Rubella)백신을 도입했고, 1989년 4월에 홍역, 볼거리, 풍진 통합백신인 MMR 접종을 시작했다.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mumps) 백신의 부작용으로 무균성 뇌막염(Aseptic meningitis)이 발생한다는 의심이 들면서 1993년 4월 MMR 접종을 중단하였다. 1994년 면역법을 고치면서 홍역과 풍진 백신을 따로 만든 1가 백신으로 바꾸어 접종하게 되었으며, 볼거리 백신은 선택사항으로 바뀌었다.
정도가 되려나. 

그러니 결국 3가혼합백신인 MMR을 1가백신 세 개로 각각 바꾸었을 때 자폐증 발생률에 변화가 없다는 연구가 아닌가 싶다. 혹시 논문을 읽어보고 내가 잘못 이해했다고 생각된다면 댓글 달아주길 부탁함.